참 걱정거리 많고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더미식으로 쌓여있는데..
오랜만에 정말 오랜만에 시간이 생겼다ㅠㅠ
그래서 오랜만에 글을 작성해본다.
국제결혼이라는 게 예전보다는 많이들 하고 있기도 하고 쉬운일도 아니지만
그 중에서 인도네시아 국제결혼이 참 쉬운일은 아니다.
절차도 복잡하고 종교관도 문화도 맞아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는 종교의 자유가 있기는 하지만 그건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이 부분은 3번 주제에서 얘기하도록 하자.
그럼 어떤 사람은 제발 국제결혼 그 중에서 인도네시아 여자와 결혼하지 않기를 개인적으로 바라는 지 알아보자
1. 문화를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 사람
이건 인도네시아뿐 아니라 국제결혼 하는 사람이라면
문화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럼 꼭 국제결혼하면 안된다.
한국 문화가 무조건 좋다? 그거 너무 잘못된 생각이다.
한국 인터넷이 빠른 이유는 땅덩어리가 좁은것도 한 몫한다.
그리고 일처리가 빠른거? 그건 그냥 한국문화다.
왜 이 나라는 일처리가 느려? 라고 생각할 수 있다.
나 또한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많은 편이고, 하지만 그래도 내 남편 또는 와이프의 나라의 문화이고
일처리도 예전부터 그래왔으니 어쩌면 당연하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근데 내가 말하는 것은 무조건 한국 문화가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그거 그냥 국뽕이야..
서로에 대한 문화를 이해해주고 서로 합의해가면서 맞춰나가야지
"너는 무조건 이래야돼!" 는 너무 잘못된 생각이다.
내가 맞춰줄 수 있는 것은 맞춰주면서 서로 문화를 이해해주는 것은 어떨까?
2. 부모님 하나 설득 못하는 사람
하.. 이런 사람은 절대 하지마세요.
나야 젊은편이고 부모님도 젊다보니 국결에 대한 인식이 매우 프리하다.
그냥 너가 좋으면 찬성이라고 하시는 분들이시다.
하지만 아닌 분들도 있을거다.
근데 절대 부모님이 반대하실 거 알면서 설득도 못할 거란거 알면서 왜 외국인과 연애를 하고 결혼은 하지 않는가.
그래 물론 연애를 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혼전임신을 한 여자인데도 부모님을 하나 설득 못해서 튀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지마라 제발.. 연애 하는 건 좋은데 추잡하게는 마무리하지 말자.
3. 종교를 변경하지 못하는 사람
초반에도 말했지만 종교의 자유가 있는 나라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그 이유는 무교는 없고, 종교를 태어났을 때 이미 가지고 태어난다.
왜? 부모님의 종교를 그대로 가지고 가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쉽게 바꿀수 있는가? 굉장히 복잡하다.
국교가 따로 있는 나라는 아니다보니 종교는 여러개지만, 무조건 종교는 가지고 있어야한다.
그래서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고 한 것이다.
인도네시아 여자와 결혼을 하고 싶은가? 그럼 상대방의 종교를 맞춰야만 한다.
이슬람교다? 그럼 당신은 이슬람교를 입교를 해야하고, 천주교나 기독교여도 마찬가지이다.
근데 친도가 아닌이상 대부분은 이슬람교이기 때문에 종교를 이슬람교로 해야한다.
물론 인도네시아를 와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이슬람교 치고는 굉장히 프리한 나라이다.
히잡? 안써도 그만이고 돼지고기 먹는 사람들도 있다. 라마단? 그게 뭔데?
하지만 그래도 종교는 이슬람으로 맞춰야 결혼이 가능하기에 종교를 맞출수 없다면 인도네시아는 패스하길 바란다.
나의 경우는 무교라서 어떤 종교를 하더라도 상관은 없었고 이슬람교에 대한 거부감이 조금은 있었으나,
인도네시아에 있다보니 이슬람교는 종교가 아니라 그냥 문화 같아보였다.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한국이 더 보수적이라는 생각도 들 정도?
4. 동남아시아라고 쉽게 보는 사람
하.. 이건 꼭 국제결혼 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누구나 이러면 안된다.
보통 가장 동남아를 쉽게 보는 나라가 한국과 중국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한국인들이 가장 쉽게 깔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물론 동남아시아가 인프라 부분에서는 발전을 한국보다 많이 뒤쳐진 부분도 있다.
그러나 땅 넓이를 생각해보자. 인도네시아만 해도 섬나라지만 한국보다 몇배나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기도 하고
한국만큼 발전을 하려면 GDP를 몇배로 더 늘려야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발전한 곳은 한국 못지 않을 만큼 발전하고 좋은 곳들도 많다.
그리고 동남아시아라면 무조건 가난할 거다. 라는 편견은 버려라.
물론 빈부격차가 심한 건 있다. 한국이 진짜 빈부격차가 엄청 심하지 않은 나라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다.
( 이건 진짜다. 한국에서 태어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자 )
하지만 무조건 다 가난할 거라는 시선과 생각을 갖진 않았으면 좋겠다.
물론 어느 통계를 봤을 땐, 백만장자의 비율이 인도네시아가 낮은 편이긴 했다.
그만큼 부를 소수가 독식하는 구조라고 봐야겠지? 물론, 기회가 없는 곳은 아니지만
뭔가 깨어있지 않는 이상은 사업을 해서 큰 돈을 벌어보겠다라는 생각을 갖기도 힘든 구조이긴 하다.
한국은 좋은 나라인 것은 분명히 맞다. 선진국 반열에 오르기도 했고 한국 살았을 땐 빈부격차가 심하다고 생각했지만
그것 또한 우물안 개구리적 생각이었지. 전혀 그렇지도 않다고 생각된다.
이번 글은 한국을 비판한 것 같은 글들을 좀 작성했지만 맞는 말을 했을 뿐. 고칠 건 고쳐야된다고 생각한다.
나도 거주하면서 많이 보기도 하고 많이 듣기도 한다. 같은 사람이다.
가난하다고 깔보고 나보다 잘 산다고 싸바싸바 하지말고 누구에게나 인사는 잘하고 웃어주고 똑같이 대해주면 된다.
급을 나누지 말자란 얘기다.
공평하게 인도네시아를 비판하는 글도 작성하도록 하겠다.
하지만 그 이전에 인도네시아 애플 사태를 보면서 느낀 한국의 저출생 문제에 대해서 조금 글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그 이후엔 인도네시아에 살면서 조심해야 될 부분을 작성해보겠다.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결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 사는 것이 싫어질 때가 있는 이유 [ 인도네시아 결혼 생활 8편 ] (0) | 2025.03.29 |
---|---|
개인적으로 느끼는 인도네시아 애플 아이폰 16 판매금지로 보는 한국 저출산의 심각한 문제점 [ 인도네시아 결혼 생활 7편 ] (0) | 2025.03.29 |
동남아시아가 쉬워보여? 그렇다면 당신은 인도네시아에서 살면 안돼 [ 인도네시아 결혼 생활 5편 ] (2) | 2025.02.24 |
인도네시아 1년 거주 나의 생각 정리 [ 인도네시아 결혼 생활 4편 ] (4) | 2025.01.18 |
족자카르타에서 구매할 수 있는 아기 용품 전문점 추천 [ 인도네시아 결혼 생활 3편 ] (0) | 2025.01.10 |